목록SpringBoot (6)
스터디코딩
목차 1. 메시지, 국제화 소개 2. 스프링 메시지 소스 설정 3. 스프링 메시지 소스 사용 4. 웹 애플리케이션에 메시지 적용하기 5. 웹 애플리케이션에 국제화 적용하기 1. 메시지, 국제화 소개 메시지 만약, 상품명-> 상품이름으로 고친다면 화면들을 찾아가면서 변경해야한다. 다양한 메시지를 한 곳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이 메시지 기능이다. 사용법: item=상품 item.id=상품 ID item.itemName=상품명 item.price=가격 item.quantity=수량 국제화 messages.properties를 각 나라별로 별도로 관리 , 파일을 만들어 관리한다. 접근 국가 인식 방법: HTTP accept-language 해더 값을 사용하거나, 사용자가 직접 언어를 선택하도록하고 쿠키 등을 ..

목차 9. 속성 값 설정 10. 반복 11. 조건부 평가 12. 주석 13. 블록 14. 자바스크립트 인라인 15. 템플릿 조각 16. 템플릿 레이아웃1 17. 템플릿 레이아웃2 9. 속성 값 설정 타임리프 태그 속성(Attribute)/ 속성 설정 HTML 태그에 th:* 속성을 지정하는 방식. th:* 로 속성을 적용하면 기존 속성을 대체하고, 없으면 새로 만든다. [기존 속성 대체] 타임리프 렌더링 전: 타임리프 렌더링 후: 속성 추가 th:attrappend : 속성 값의 뒤에 값을 추가한다. th:attrprepend : 속성 값의 앞에 값을 추가한다. th:classappend : class 속성에 자연스럽게 추가한다. - th:attrappend = - th:attrprepend = - th..
목차 1. 타임리프 소개 2. 텍스트-text,utext 3. 변수-SpringEL 4. 기본 객체들 5. 유틸리티 객체와 날짜 6. URL 링크 7. 리터럴 8. 연산 1. 타임리프 소개 1.1. 타임리프 특징 서버 사이드 HTML 렌더링(SSR): 타임리프는 백엔드 서버에서 HTML을 동적으로 렌더링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. 네츄럴 템플릿: 타임리프로 작성한 파일은 HTML을 유지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을 직접 열어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, 서버를 통해 뷰 템플릿을 거치면 동적으로 변경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 JSP를 포함한 다른 뷰 템플릿들은 해당 파일을 열면, 예를 들어서 JSP 파일 자체를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서열어보면 JSP 소스코드와 HTML이 뒤죽박죽 섞여서 웹 브라우저에서 정..

1. list.html 게시판 총건수 : 번호 제목 작성자 Mark Otto @mdo 쓰기 2. BoardController.java @GetMapping("/list") public String list(Model model){ //파라메터값을 넘겨주고싶다면 model List boards = boardRepositoryJPA.findAll(); model.addAttribute("boards",boards); return "board/list"; } 3.BoardRepositoryJPA @Repository public class BoardRepositoryJPA {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; @Autowired public BoardRepositoryJPA(Entity..

Dependancy injection(DI, 의존관계 주입) 1. 생성자 주입 2. 필드 주입 - 바뀔 여지가 없다는 단점 3. setter 주입 - public으로 항상 열려있어야한다는 단점 @Controller 멤버 컨트롤러가 멤버 서비스를 통해서 회원가입 등을 한다. 이것을 의존관계가 있다고 한다. @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{ /*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= new MemberService(); * new하면 여러 controller들이 memberService를 가져다 쓰며 여러개를 쓰게됨. 그럴필요없이 * 공유하자! * */ //1. 생성자 주입(권장) private final MemberSer..

1. 정적 컨텐츠 : 파일을 그냥 웹브라우저에 내려주는 것. 2. MVC와 템플릿 엔진 - 템플릿 엔진: 과거에는 jsp와 php가 사용. html을 서버에서 프로그래밍해서 html을 동적으로 바꿔서 내리는 것. - 그걸 위해 controller,model,view라고해서 MVC 사용. ** viewResolver: 화면과 관련한 해결자, view를 찾아주고 템플릿엔진 연결 - 과거: model 1방식, controller와 view가 구분되어있지 않고 view에서 모든걸 다함. jsp가지고 그렇게 개발을 많이 했 다. - 현재: MVC 스타일 이용. View: 화면을 그리기. Controller나 Model: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있거나 내부적인걸 처리. => View는 화면과 관련한 일. 비즈니스 로직..